사진측량이란?
사진측량이란 사진 촬영에 의해 기록된 사진 화상을 바탕으로 하여 대상물의 크기, 형상, 위치 등을 측정하는 기술 또는 과학이다. 사진측량은 원자력, 전자공학과 더불어 20세기에 이룩한 큰 기술혁신의 하나이며 그 이용범위는 넓고 각 분야에 걸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처음 사진술이 발명된 것은 1889년 프랑스인 데갸르(Daguerre)에 의하였고 그 후 1850년대에 프랑스인 로셰다(Laussedat)가 동일 물체를 다른 위치에서 촬영하여 그 물체의 위치를 구하는 연구를 진행한 것이 사진측량의 기원이라 하겠습니다. 많은 과학자에 의해 여러 과정을 통하여 오던 중 1889년 라이트 형제가 비행기를 발명한 다음부터 항공사진측량은 급속도로 발전하여 군사 목적은 물론, 달의 지형도 작성, 인공위성으로부터 촬영된 사진은 지구상의 각종 조사에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항공사진측량이 본격화되기는 1966년 8월 13일 화란 왕국과 항공사진측량 협정이 체결되고부터입니다. 전문 기술자 양성, 촬영기 및 도화기가 확보되어 자체적으로는 1967년부터 우리 기술진에 의한 사진측정이 본격화되었습니다.
오늘날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만들고 있는 1/50,000, 1/25,000의 지형도는 모두 사진측량에 의해 제작되고 있으며, 철도나 도로의 건설, 도시의 개조, 농지의 정비 등에 쓰이고 있는 1/5,000, 1/2,500, 1/1,200, 1/600 등의 지형도도 대부분은 사진측량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사진측량의 분류
1. 촬영 방법에 의한 분류
① 항공 사진측량: 비행기나 기구 등을 이용하여 지형도 작성 및 판독에 주로 이용.
⓶ 지상 사진 측량: 건조물 및 시설물의 형태, 변위 관측, 건물의 정면도, 입면도 제작에 주로 이용.
③ 수중 사진 촬영: 플랑크톤의 양, 수질 조사, 해저 기복 상황, 수중식물의 활력도 등을 제작하는 데 이용.
④ 원격탐측 : 환경 및 자원문제에 주로 이용.
⑤ 특수 사진측량 : 지도작성 이외의 목적으로 X선, 적외선사진 등을 이용 의학, 고고학, 문화재 조사에 주로 이용.
2. 촬영방향에 의한 분류
① 수직사진
광축이 수직선과 거의 일치하도록 상공에서 촬영한 경사각 3° 이내의 사진.
② 경사사진
광축이 수직선과 경사지도록 상공에서 촬영한 3' 이상의 사진.
③ 수평 사진
지상에서 카메라 축을 수평선에 거의 일치하도록 지상에서 촬영한 사진
※ 항공사진측량으로 지형도 제작 시에는 거의 수직사진에 의한 촬영입니다.
3. 화각에 따른 분류
종류 화 각 초점 거 리 목적 비고
초광각 사진 약 120°
88mm 소축척 도화용 완전 평지에 이용
광각사진 약 90° 153mm 일반 지형도 제작, 판독용 경제적
보통각사진 약 60° 210mm 삼림 조사용 산악,도심지,정면도
협각 사진 약 60 °이하 300mm 특수 대축척 도화용, 판독용 특수정면도 제작
4. 필름에 의한 분류
① 팬크로(panchro) 사진
가장 많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흑백사진으로 가시광선에 해당하는 전자파로 이루어진 사진입니다. (지형도 제작용)
② 적외선(infra-red) 사진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지도작성 뿐 아니라 지질, 토양, 수자원, 삼림조사등의 판독작업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③ 팬 인플러(pan infra)
팬크로 사진과 적외선 사진의 중간에 속하며 적외선용 필름과 황색 필터를 사용합니다.
④ 천연색 사진(colour)
조사, 판독 등이 주체로 많이 사용되며 도화에 이용되는 예는 적습니다.
⑤ 위 색 사진(false colour)
식물의 잎은 적색, 그 외는 청색으로 찍히게 되어 생물 및 식물의 연구조사에 널리 이용합니다.
5. 도화 축척에 따른 분류
① 대축척 도화(1/500~1/3,000)
촬영고도 800m 이내의 저공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사진을 도화.
② 중축척 도화(1/5,000~1/25,000)
촬영고도 800m~3,000m에서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사진을 도화.
③ 축척 도화(1/50,000 ~ 1/100,000)
촬영고도 3,000m이상에서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사진을 도화.
6. 공중 사진측량의 특징
종래의 지상 사진 측량과 비교하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으나 그 장단점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장점
① 외업 시간이 짧고 한번 촬영하여 두면 영구 보존할 수 있습니다.
② 교통량의 조사, 홍수, 화재의 상황 등 움직이는 것도 측량이 가능합니다.
③ 측량의 정확도는 삼각측량이나 트래버스측량보다 떨어지나 도상 각 부분의 정도가 균일합니다.
④ 접근하기 어려운 극한지, 열대지, 위험지 등의 대상물 측량이 가능합니다.
⑤ 분업화에 의한 작업의 능률이 높습니다.
⑥ 한번 촬영하면 원하는 축척의 변경이 용이합니다.
⑦ 측량 경비는 측량구역 면적이 클수록 경제적이며, 대축척보다는 소축척일수록 경제적입니다.
⑧ 4차원 측정이 가능합니다.
2) 단점
① 시설비용이 많이 듭니다.
② 좁은 지역의 측량이나 대축척의 측량에는 부적합합니다.
③ 피사 대상에 대한 식별이 난해합니다.
④ 사진 촬영 시 계절이나 기상의 영향을 받습니다.
사진측량의 적용 범위
사진측량은 도화가 신속하고, 광대한 지역의 평균 도화가 가능하며, 정밀하게 일을 끝마칠 수 있는 3대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진측량의 적용 범위는 넓고 다양합니다.
1) 환경 보존 및 조사 2) 자원조사 3) 교통조사 4) 토목설계 5) 방재 대책 6) 문화재 보존과 복원 7) 도시계획 8) 토지이용
9) 농업 10) 삼림 11) 의상 및 인간공학 12) 해양조사 13) 우주개발 14) 의학 15) 고고학 16) 군사적 이용 17) 기상조사 18) 지질조사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